본문 바로가기

심리학27

시한부 판정을 받아 죽음을 대하는 우리들의 태도 오늘은 상상만으로도 슬프고 안타까운 주변인들이 돌아가시는 우리들의 태도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모두 건강하고 살아있을 때 후회 없이 사랑하고 잘해드리기를 바랍니다. 죽음에 대한 주변인들 만약 우리의 부모님이 시한부 판정을 받고 죽음을 앞둔 사람은 인생에서 가장 받아들이기 힘든 결정과 본인의 결과에 아무 영향도 끼칠 수 없는 결정을 받아들여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이나 실직 같은 문제도 수용하기 정말 어려운 일이지만, 죽음이란 그 어떤 고통보다 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일 수밖에 없습니다. 죽음을 앞둔 환자의 심리상태는 어떻게 변해가며, 이를 지켜보는 사람은 어떻게 그를 도울 수 있을지 한번 보겠습니다. 의료계에서 최초로 호스피스 운동을 시작한 정신과 의사 로스(E. K... 2024. 2. 27.
우리 아이가 공부에 소질이 없는걸까요 오늘은 우리 아이에게 공부시켰을 때 진도를 잘 나가지 못하고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목격하곤 합니다. 이를 보고 우리 부모님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의 학습 부진 처음 학교로 학부모 상담을 했을 때 우리 아이가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수업 진도를 못 따라간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누구든 당황스럽게 생각할 것입니다. 학교생활은 잘하는 것 같은데 왜 우리 아이는 진도를 제대로 못 따라가는지 걱정이 되고, 도대체 우리 아이가 얼마나 부진한 건지 불안하기도 합니다. 우리 아이가 학습에 어려워할 때는 먼저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부모와 아이는 열심히 한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학습량이 많은지, 아니면 학습 방법을 건 아닌지, 지능이나 집중력, 정서적인 문제 등이 있는 것.. 2024. 2. 26.
임상심리학과 상담심리학의 차이점 오늘은 임상심리학과 상담심리학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인들은 얼핏 들었을 때 이 두가지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한번 아래와 같이 알아봅시다. 임상은 무엇입니까 임상이라는 함은 연구 또는 실험과 대조되는 말로, 병원에서 병상에 누운 환자를 대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응용입니다. 의학계에도 기초 의학, 임상 의학이 있습니다. 기초 의학은 의학의 뿌리가 되는 해부학, 생리학, 세균학, 병리학, 약리학, 생화학 등을 일컬으며, 임상의학은 환자의 치료를 주력으로 하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을 뜻합니다. 가이트너 위트 뭐를 비롯한 초창기의 심리학자들은 모두 기초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는 실험심리학을 전공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원래 인간 정신세계의 본길과 구성에 관해 연구하고.. 2024. 2. 26.
혹시 나의 성격이 이상하다 생각이 들면 주변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말 중 "성격이 참 특이하네” “성격이 참 더럽네요” “제 성격이 진짜 이상하다. 아니면 4차원?” “이게 과연 그냥 성격인지, 아니면 마음의 병인가요?”처럼 ‘성격’이라는 말을 자주 씁니다. 이 말은 주위에서 일반인이 하는 대부분의 생각과 행동에 확장되어 사용되는 일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일반인과 상이할 때 ‘이상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는 보통 본인만의 개성이나 미완성 태도에 따른 서투른 행동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에 비해, 타고난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대화가 안 되는 사람 중에 언어적인 능력의 부재로 가벼운 유머를 못 받아들이는 사람, 반대로 사회성 능력이 부재해 눈치가 너무 없는 사람, 관점과 이슈에.. 2024.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