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글을 잘쓰는 아이들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저도 어린아이가 있어 해당 부분에 매우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 자녀들의 글 잘 쓰게 하는 방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논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아이들에게 글쓰기를 강조하는 부모님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책을 읽고 반드시 독후감을 쓰게 하고, 일기를 매일 길게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초등학생에게는 책을 읽고 본인의 의견을 정리해서 글로 작성하거나, 하루 종일 겪은 일에 대한 본인의 느낌을 글로 표현하기가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특히 글쓰기는 듣기, 말하기, 읽기 능력이 종합적으로 갖춰졌을 때 최종 발달하는 언어 능력이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이 발달 되지 않고서는 글을 작성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아이가 글쓰기를 잘하려면 나의 아이가 남의 말을 잘 듣고 이해하는지와 본인.. 2024. 2. 25.
우리는 스마트폰 중독을 의심해봐야 한다 현대에 스마트폰 없는 삶은 생각해볼 수 없을 정도로 오랜시간 붙잡고 있습니다. 나는 과연 스마트폰 중독인지 한번 알아보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스마트폰 중독 한국 과학기술개발원에서 진행한 시험 결과, 한국에서 스마트폰 중독 중간 군에 해당하는 사람은 약 40%, 위험군에 속한 사람은 약 20%로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 중독에 의심해 봐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본인이 중독인지 아닌지 스스로 내린 평가에서는 단 1%만, 본인이 스마트폰 중독이라고 응답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우리 한국만 해당하는 현상이 아닙니다. 미국에서 실시한 설문에서 성인 남성과 여성의 약 30%가 스마트폰을 포기하느니 성욕을 포기하겠다고 응답했습니다. 45%는 휴가를 그리고 나머지 30%는 친구까지 포기하고 스마트폰을 택했습니다. 그만큼 .. 2024. 2. 24.
심리학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흔히 심리학이라고 불리는 것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은 처음 독일, 영국에서 비롯되었으나 지금은 미국이 인간의 심층적인 이해와 사람이 직면하는 실제 문제들의 해결과 마음의 장애 개선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심리학은 혼자거나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개개인의 마음과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동양 아시아의 경우에는 마음의 깨달음을 객관적으로 밝히려는 이론 및 실제적인 심리학은 없었고, 마음의 수양, 도의 추구, 또는 새로운 정신 상태를 목표로 하는 학문이 오랫동안 개선되어 왔습니다. 사람의 마음과 행동에 대한 동양적인 접근은 사변적 그리고 비교적 논리적이며 행동 중심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현대 심리학자들은 살아 있는 생명체만 아니라 무생물, 예컨대 컴퓨터의 인.. 2024.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