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아이를 집 밖으로 내보내기가 무서워요 최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판을 치면서 이러한 범죄들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지 고민하는 부모님들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범죄가 점점 잔인하고 지능화될수록 사전에 아이를 잘 교육하여 이러한 피해들을 아이들이 입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내 아이는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아동 범죄의 실태와 예방책, 대처방안을 알아보겠습니다. 유괴나 성폭력, 아는 사람에 의한 피해가 대부분 각종 언론과 미디어에 등장하는 유괴나 성폭력 사건은 낯선 사람에 의해 우발적이고 일시적으로 일어난 것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는 사람의 계획하에 지속해서 피해를 당하는 사건이 전체 범죄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따르면 2007년 발생한 성폭력 사건의 70% 이상이 가족이나 친.. 2024. 2. 28.
혹시 우리아이는 천재일까? 똑똑한 우리 아이, 영재교육 오늘은 우리 아이가 혹시 영재는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시는 부모님들이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 그에 대한 주제를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부모님들은 아이가 조금만 남다른 면을 보여도 '혹시 우리 아이가 영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영재 교육을 모방하는 사칭 기관도 주변에 많이 있습니다.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영재교육원부터 사설학원들까지 영재를 키운다는 목적으로 아이들을 모으고, 이제는 같은 영재끼리도 수준별 테스트를 치른 후 그것에 맞게 반을 나누어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일단 영재라는 말 표현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이마다 타고난 재능이 다르고, 그것이 발현되는 시기도 다 다른데, 어릴 때 조금 남보다 뛰어난 점이 있다고 하여 '영재'라고 이름을 붙일 수 있는 .. 2024. 2. 28.
공부와 성격 두가지 모두 겸비한 아이로 키우는 법 아이를 키우다 보면 몸만 건강하면 됐느냐고 하면서도 사실 마음속 한편에는 공부도 잘하고 성격도 좋은 아이로 자랐으면 하는 마음이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공부와 성격 모두 겸비한 아이로 키우는 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아이를 초등학교에 보낸 부모님들의 최고 목표는 바로 '공부 잘하는 아이 만들기'가 아닐까 합니다. 여기에 '성격이 좋은 것'은 보너스의 개념입니다. '성격이 좋으면 좋고, 안 좋아도 공부만이라도 잘하면 된다'는 식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공부만 잘하게 하면 성격은 저절로 좋아진다'는 아무 근거 없는 믿음을 가진 부모님들도 더러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 부모가 먼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성격 좋은 아이 만들기'입니다. 공부는 그다음의 문제라는 겁니다. 공부를 못하는 것보다 .. 2024. 2. 28.
초등학생 고학년 자꾸 용돈이 부족하다고 떼를 씁니다 오늘은 용돈이 부족하다고 떼를 쓸 때 우리의 아이가 올바른 경제관념을 가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아이가 점점 초등학교 고학년이 될수록 용돈에 대한 불만이 커지게 됩니다. 다른 아이의 용돈과 비교하기도 하고 용돈이 모자란다며 학원비 등을 핑계로 부모님에게 용돈을 더 받아내려고도 합니다. 아이가 정말 용돈이 부족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유흥거리에 쓸 돈이 필요한 것인지 부모는 알 수가 없습니다. 부모로서는 아이의 씀씀이가 점점 커지는 것을 보고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할지 참 난감한 부분입니다. 경제관념을 바로잡는 계기로 삼아야 기본적으로 이 시기의 아이들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관념이 바로 서 있지 않습니다. 기껏해야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경제활동은 부모들이 주는 .. 2024. 2. 28.
반응형